당사가 감리수행 중인 세계에서 4번째, 국내에서 가장 긴 현수교인 이순신대교(사진)의 상판이 온전한 모습을 드러냈다.
현수교는 주탑과 주탑 사이를 케이블로 연결하고 케이블에 수직으로 내린 강선이 상판을 지탱하도록 하는 교량이다.
본 공사의 시공사인 대림산업은 지난 20일 전라남도 여수와 광양을 연결하는 이순신대교의 상판 연결작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6일 첫 상판 거치작업을 실시한지 44일만으로 초대형 여객기인 에어버스사의 A380 42대에 해당하는
2만3773톤에 이르는 90개 상판이 이순신대교 주 케이블에 완전히 연결됐다.
상판 연결작업은 길이 25m, 너비 25m, 두께 3m, 중량이 250톤에 달하는 강구조물을 바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해상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고난이도 공정으로 이순신대교 건설의 마지막 퍼즐(Puzzle)로 평가돼 왔다.
이순신대교는 순수 국산기술로 시공되었고 그야말로 국내 최초의 한국형 현수교라 할 수 있다. 이순신대교의 주탑과 주탑 사이의 거리(주 경간장)는 1545m로 국내에서는 가장 길고 세계에서도 4번째로 긴 현수교다.
주탑 양쪽에 있는 측경간장 길이 715m를 포함하면 전체 길이는 2260m에 이른다. 주탑 사이의 거리 1545m는 이순신 장군이 태어난 해인 1545년을 기념한 것이다. 주탑의 높이는 270m로 세계에서 가장 높다.
대림산업은 오는 5월 개최되는 여수 엑스포의 관문역할을 할 이순신대교를 엑스포 개최 전에 임시로 개통할 계획이다.
현재의 공정률은 약89%를 기록하고 있다고 한다.
당사는 본 이순신대교뿐만아니라 거가대교, 북항대교,압해대교, 제2진도대교, 적금대교, 여수대교 등 특수교량에 대한 전 공정에 걸친 강교감리업무를 수행함으로써 현수교/사장교/아치교 등 초장대 특수교량 분야 국내 1인자의 위용을 국내외에 과시하는 계기가 되는 셈이다.
아무쪼록 본 공사의 감리업무에 헌신적으로 노력하신 당사 직원(김정기,하만섭,권성만,허맹도,윤태호 이상 5명)에게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자 한다.(끝) |